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제2의 리먼사태?!
    재테크(부동산, 주식...) 2023. 3. 15. 15:35
    반응형

    실리콘밸리은행?? 이런 은행도 있었나 싶었다. 미국의 첨단을 달린다는 도시의 은행이 순식간에 파산이라니!!

    당장 현금 창출력은 딸리지만 성장성은 높은 스타트업을 지원한다고 한다.

    우리의 기 0은행이나, 벤처지원 같은 것인가? 차후 성장한 회사에서는 대출의 고마움을 생각하여 주거래은행으로

    많은 예금을 보관하고, 대출에서도 기업의 자금계획보다는 사회적 평등으로 여성의 비율과, ESG 경영을 한다면

    대출을 해주었다고 하니 저금리 시기에는 좋은 은행으로 판단되었나 보다.

     

    하지만 이번의 금리의 인상으로 인하여 예금의 부족과 채권 구매의 투자 실패가 소문이 돌아서 투자 기업들이

    예금을 찾는 경우가 늘었고, 이것이 이어져서 모든 사람들이 은행에서 돈을 찾는 패닉 뱅크런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저금리 시대→스타트업 투자에 관심 up → VC 규모 up과 함께 예금 규모가 폭증→장기 채권에 투자→금리 인상→예금 찾아감→유동성 부족→채권 손실)

     

    2008년 리먼 사태 이후 최대급의 은행 (자산규모 $200bn 이상) 파산이다 보니,

    제2의 리만 사태로까지 번지느냐에 대한 걱정으로 연일 뉴스가 나오는 상황에

    미국에서는 대통령도 아침 장시작전에 나와서 안전할 것이다. 말하였다!!!

    그런데 마침 중국의 헝다 사태나 암호화폐 기업들의 비슷한 상황으로 줄줄이 연쇄도산 중이라...

    리먼 사태 때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다고 하는 것이

    [고위험 자산을 담보로 만든 파생상품들에 투자한 차이점] vs [실리콘밸리은행의 자산은 본질적으로는 안전한 회사]

    라고 하는데 이것이 미국을 시점으로 장기 침체로 가는 시작점인지 시간이 지나봐야 알 일이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